홈텍스 종합소득세 D유형 신고방법 : 같이 해보아요
안녕하세요 고집 센 황 씨예요.
오늘은 저와 함께 사실 저도 잘 모르는
홈텍스 종합소득세 d유형 신고방법에
대해서 같이 해볼까요...?
저는 소득이 많지 않은 작은사업을 하고 있어요.
그렇지만 세무사에 신고를 맡기기엔
든든한 저희 남편이 세무서에서 일한 경험이
있어 둘이서 꽁냥꽁냥 절약형 홈텍스에서
신고를 하고 있답니다 : )
보통 세무서에는 등록하는 ERP 시스템이 구축되어
더욱 쉽게 한다고 하는데 뭐..........
저는 직원이 6명 정도 있는 소규모 업체예요.
하지만 다들 프리랜서로 일하시기 때문에
종합소득세를 할 때는 요 프리랜서로 일하시는
직원 신고 급여를 넣어 주면 돼요.
사실 저는 19년부터 사업을 시작했는데 처음엔
진짜 아무것도 몰라서 직원 신고하는 방법도 잘 몰랐어요.
근데 뭐 세무서에 맡기면 큰 금액은 아니라도 그 금액조차 아까워하던 1인입니다..
저처럼 아깝다면 배워야겠죠? 배우면 돈이 줄어요.ㅋㅋㅋㅋㅋㅋ
그리고 개인사업자가 있으신 모든 분들은
어느 정도 나의 매출에 대한 간단한 세무를 알고 있는 게 좋다고 봐요.
제가 처녀시절 회사를 다닐 때 회계업무를
겸하면서 무역업무를 좀 했어요.
작은 일본계 부품회사라서 인보이스와 패킹 많이 하던 그런 시절..
소소하게 알고 있던 회계업무에 자잘한 지식으로
저는 제 개인사업자를 하면서 하나씩 녹여서
열심히 홈텍스로 집에서 세무신고를 하고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저도 잘 모르는 종합소득세 신고 d유형 신고방법을
알려드린다는 게 아니라 지금부터 저랑 함께하실 거예요.
저도 잘 몰라요. 몰라서 같이해보자는 얘기예요.
일단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중에 제일 먼저 하는 게 무엇이죠?
홈텍스에 들어가셔야겠죠?
뭐 편하게 요즘은 어플로 손택스에서 하시는 분들도 많으시니
그건 각자 개인적인 취향으로 로그인을 해주시면 되세요.
그리고 로그인을 하면 자,
ooo님 나의 세무 알리미
여기에 적혀있죠?
귀하는 올해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간편 장부
-기준경비율 대상자(D유형)에 해당하오니 5월 31일까지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조기 하단에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한 "종합소득세 신고"
요걸 눌러주시면 되세요!
여기서부터 이제 잘 심호흡 한번 하시고 시작하세요.
처음 들어가면 사실 저는 몇 번 들어가서
신고 도움서비스가 바로 안 떴는데요.
다들 처음 하시는 분들은 "신고 도움서비스"
이게 뜨면서 자기의 신고 유형이 나오고
간편 장부/복식부기 인지 상세하게 알려준답니다.
자, 저는 일반 신고서를 눌렀어요.
저처럼 종합소득세 신고 d유형이라면 다들
일반 신고서로 작성을 해야 해요.
여기서 이제 기본정보를 입력하라는 내용이 나와요.
납세자 번호 : 자기 주민번호를 조회하면 돼요.
조회를 하면 어느 정도의 내용이 작성돼요.
다른 것보다 여기서 제가빨간 박스를 체크한
내용을 알려드릴게요.
신고유형 : 기준경비율
기장의무 : 간편 장부 대상자
소득종류 선택 (복수 선택 가능) - 부동산 임대업 외의 사업소득
이렇게 체크를 해주시고 다른 사업자가 추가적으로 있다면
다른 사업자도 같이 넣어주시면 되세요.
전 한 개의 사업자라서 한 개를 넣고 다음으로 넘어갔어요.
넘어가면 추계소득금액 계산서(기준경비율)
요렇게 나와요
사업장 정보는 신고 도움서비스를 보시면 이렇게
세 번째 "신고 참조자료" 클릭하시면
21년 3월 말까지 수집된 자료로서 실제 내용과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 소득 내용대로 성실하게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내용이 나오는 2020년 귀속 사업장별 수입금액 현황을
보실 수 있어요.
위 말대로 실제 소득이 맞는지 아닌지는 현금영수증 조회
신용카드 매출 조회로 확인하시면 되세요.
이건 홈텍스 내에서 확인하시면 빠르고 쉬워요.
저는 매달 엑셀 파일로 간단하게 현금영수증. 신용카드매출을
기재해놓고 있어요.
확인해보니 저는 맞더라고요.
그래서 그대로 신청을 했어요.
자 그러면 이후에는 빨간색 박스 보이시죠?
거기에 나의 수입금액을 적어요.
저는 "47,313,706"으로
그걸로 넣었고요.
여기서 일반율/자가율이 있어요.
둘 중 자기가 맞는 기준경비율의 퍼센트가 나와요.
합계(소득 구분별. 사업장별)
이렇게 하면 자동으로 세금이 쫘라라락 나와요.
아래에 보시면 매입 비용 있으실 거예요.
전자(세금) 계산서를 클릭하시면 제가 매입으로
받은 전자(세금계산서)가 나와요.
합산 적용이라고 눌러주시면 간편하게 적용돼요.
자, 여기서 인건비를 넣는 란이 있죠?
이건 달마다 인건비를 소득신고를 하신 직원들은
지급명세서 누르면 자동으로 또 등록이 되기도 해요.
자 빠르게 누르고 등록하기 꼭 눌러야지 수입금액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달라져요.
그리고 주요 경비지출 명세서가 있는데
혹시나 경비지출이 있는 경우에는 작성해서 넣으시면 되세요.
등록하기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사업소득명세서가 나와요.
저는 주택 외 임대소득이 없어서 그냥 넘어갔어요.
혹시나 사업소득에 대한 원천징수 및 납세조합 징수 세액이라는 것은
원천징수 개인사업을 하시면서 근로소득이 있으면
주민번호를 등록하시면 나올 것 같은데 저는 사업소득밖에 없어서
그냥 저장 후 다음 이동했어요.
종합소득금액 및 결손금. 이월결손금 공제 명세서가 있는데
이경우는 저 같은 경우에는 결손금 명세서가 없어서 넘어갔어요.
소득공제(소득세법)
요 페이지도 소득자 본인만 넣어서 물론 자녀가 있고
공재대상자가 있으면 더 넣고 신청하시면돼요.
그리고 기타 공제 및 특별공제에
국민연금보험료와 기타 연금보험료가 있으면 추가로
기재하시면 되고 쭉쭉 - 넘어갈게요.
저는 다 해당되지 않아요.
해당되는 사람은 더 꼼꼼하게 기재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여기서 쭉 넘어가다가 가산세 명세서가 있어요.
사업장 정보는 자동으로 들어와요.
무신고 가산세
과소신고 가산세 등등
부정신고나 일반 무신고나 이럴 때 가산세가
붙는데 저는 매번 매달마다 신고를 해서 성실신고 의무자예요.
이럴 때 세금 감면해주면 좋을 텐데..
성실신고의무자는 세금 감면세 뭐 이런 건 없나 봅니다.
그래서 그냥 넘어갈게요.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기납부세액 명세서가 있는데
중간예납 세액이 있으신 분들은 기재를 해주시고
저는 따로 없어서 패스하고 넘어갈게요.
저는 이렇게 하여...
신고기한 이내 납부할 세액이 공개되었습니다...
1,382,510
정말 네이버 블로그처럼 스티커가 있다면
허걱 소리 나는 스티커를 붙이고 싶... 습니다만
저는 성실신고 의무자니까.
내야죠.
남편몬이 알맞게 나왔다고 하는데 사실 제가
지출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사업을 하기 때문에
지출비용으로 넣을 게 없다는 현실이에요.
저는 올해 21년부터 코로나 때문에 엄청 소득이
저조해서 소상공인 버팀목 자금을 받았지만요.
종합소득세 d유형 홈텍스에서 빠르고 쉽게
해보시는 걸 추천드리면서
정답은 아니니 너무 모르겠으시면 챗봇이나
세무서에 상담을 하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자 다들 다가오는 종합소득세 신고 잘하시고요.
코로나 때문에 소득이 많이 줄어드신 분들
힘내시고 파이팅하세요.
'똑똑한지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한임대인 소상공인확인서 : 어떻게 발급하나요? (0) | 2021.05.16 |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이의신청 : 하는방법 (0) | 2021.05.14 |
국가 보조금24 신청 : 어떻게 확인하나요? (0) | 2021.05.12 |
고용보험 실업급여 : 신청방법 및 수급조건 (0) | 2021.05.11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 행정명령 이행확인서 발급방법 (0) | 2021.05.10 |